현대 아슬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아슬란은 2014년 10월 30일에 출시되어 2017년 12월에 단종된 현대자동차의 준대형 세단이다. 5세대 그랜저(HG)의 파생 모델로, 대한민국 시장만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터키어로 사자를 의미하는 '아슬란'이라는 차명을 사용했다. 플루이딕 스컬프처 2.0 디자인을 기반으로 쏘나타(LF) 및 제네시스(DH)와 패밀리룩을 이루었으며, V6 3.0L 및 3.3L 가솔린 엔진과 6단 또는 8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했다. 안전 및 편의 사양으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도입된 자동차 - 에디슨 화이버드
에디슨 화이버드는 한국화이바에서 2014년에 출시한 탄소섬유 강화 복합소재를 사용한 버스 모델이며, 전기버스 모델은 ZF제 휠인 전기모터와 병렬연결 방식의 배터리 팩을 적용했고, 1세대 모델은 단종되었으며 일본에도 수출되었다. - 2014년 도입된 자동차 - 시트로엥 DS6
시트로엥 DS6는 현재 내용 요약이 보류된 상태이며, 추가 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 준대형 승용차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준대형 승용차 - 현대 그랜저
현대 그랜저는 1986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고급 승용차 브랜드이며, 7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아슬란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모델 코드 | AG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생산 기간 | 2014년 10월 – 2017년 12월 |
조립 장소 | 대한민국 아산시 (현대자동차 아산 공장) |
차종 | 준대형차 (E-세그먼트) |
차체 형태 | 4도어 세단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
플랫폼 | 현대–기아 Y6 플랫폼 |
관련 차종 | 현대 그랜저 (HG) 기아 K7 |
이전 차종 | 현대 다이너스티 |
엔진 | |
종류 | 가솔린: 3.0 L 람다 II GDI V6 3.3 L 람다 II GDI V6 |
최고 출력 | (3.0 L) (3.3 L) |
변속기 | |
종류 | 6단 자동변속기 (2014–2016) 8단 자동변속기 (2017) |
차체 크기 |
2. 역사
2014년 5월, 부산 국제 모터쇼에서 컨셉트카 '''AG'''라는 이름으로 처음 공개되었다.[5] 현대자동차는 AG를 전륜구동 라인업의 최상위 모델로 개발했으며, 당시 대한민국 시장에서 급증하던 수입 고급 세단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개발 당시 가상 경쟁 모델로는 렉서스 ES, 아우디 A6 등이 거론되었다.[6]
AG는 2014년 10월 30일, '아슬란'이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시장에 공식 출시되었다. 5세대 그랜저(HG)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제네시스에 가까운 고급스러움과 크기를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외관 디자인에는 당시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철학인 '플루이딕 스컬프처 2.0'이 적용되었다.
실내 정숙성을 높이기 위해 그랜저보다 흡음재를 더 많이 사용했으며, 운전석 앞 유리에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보행자 충돌 시 본네트를 들어 올려 충격을 줄이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 등 새로운 안전 및 편의 사양을 탑재했다.
엔진은 V형 6기통 직분사 방식의 람다 엔진 두 종류(3.0L, 3.3L)가 탑재되었고,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현대 그랜저와 달리 하이브리드나 디젤 모델은 출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아슬란은 시장에서 명확한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고 판매 부진을 겪다가, 별다른 큰 개선 없이 출시된 지 약 3년 3개월 만인 2018년 1월에 단종되었다. 현대자동차 라인업 중 드물게 대한민국 외 지역으로 수출되거나 판매되지 않은 내수 전용 모델로 남게 되었다. 간접적인 후속 차종으로는 제네시스 G70과 제네시스 G80이 언급된다.
2. 1. 1세대 (AG, 2014년~2017년)

2014년 10월 30일에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준대형 세단이다. 5세대 그랜저(HG)를 기반으로 개발된 파생 차종으로, 출시 전에는 다이너스티라는 차명이 검토되기도 했다.[7] 대한민국 내수 시장 전용 모델로 개발되었으며, 차명 '아슬란'은 Aslan|아슬란tur으로 사자를 의미한다. 개발 당시 가상 경쟁 모델로 렉서스 ES, 아우디 A6 등을 염두에 두었다.[6]
출시에 앞서 2014년 5월 부산 국제 모터쇼에서 프로젝트명 'AG'라는 이름의 콘셉트 카 형태로 먼저 공개되었다.[5]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철학인 '플루이딕 스컬프처 2.0'이 적용되어 쏘나타(LF), 제네시스(DH) 등과 유사한 패밀리룩을 이루었다. 정숙성 향상을 위해 앞·뒤 도어 유리와 전면 유리에 이중 접합 차음 유리를 적용하고, 엔진룸 등 주요 부위에 흡차음재를 확대 적용하였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기본으로 적용되었으며, 액티브 후드 시스템, 스마트 후측방 경보 시스템 등 다양한 안전 사양을 갖추었다. 엔진은 V6 3.0L와 3.3L 가솔린 GDI 두 종류가 탑재되었고, 초기에는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2015년 5월 17일에는 3.0L 모델의 트림을 조정하고 선택 사양을 확대했으며, 같은 해 12월 7일에 출시된 2016년형 모델은 일부 사양을 재구성하고 가격을 조정하였다. 2015년 12월 9일, 에쿠스의 후속 차종인 EQ900이 새로운 고급차 브랜드인 제네시스 소속으로 출시되고, 기존의 제네시스 역시 제네시스 브랜드로 편입됨에 따라 아슬란은 현대자동차 라인업의 새로운 기함 역할을 맡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국토교통부가 실시한 신차 안전도 평가에서 100점 만점에 97.3점을 받아 1위를 차지하며 안전성을 입증받았다.[8] 2016년 9월 20일에 선보인 2017년형 모델에는 8단 자동변속기가 새롭게 적용되어 연비가 소폭 개선되었다.
하지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지 못하고 판매 부진을 겪다가, 2017년 12월 생산이 중단되어 그랜저(IG)에 통합되는 형태로 단종되었다. 출시 후 약 3년 3개월 만의 단종이었으며, 현대자동차 라인업 중 드물게 대한민국 외 지역으로 수출되거나 판매되지 않은 차종으로 남았다.
2. 1. 1. 엔진 및 변속기
(이후 266/6,400으로 변경)(이후 290/6,400으로 변경)
(이후 31.4/5,300으로 변경)
(이후 35.0/5,200으로 변경)
(2017년형부터 자동 8단으로 변경)